맨위로가기

위르겐 엘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르겐 엘러스는 1929년 함부르크에서 태어난 독일의 이론 물리학자이다. 상대성 이론, 특히 중력 이론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했으며, 블랙홀의 사건의 지평선 개념을 처음으로 제안했다. 엘러스는 우주론, 중력 렌즈, 중력파 연구에 기여했으며, "엘러스 군"과 엘러스-게런-삭스 정리를 통해 일반 상대성 이론의 수학적 구조와 그 결과를 명확히 하는 데 힘썼다. 그는 또한 과학 대중화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부르크 대학교 동문 - 헬무트 슈미트
    헬무트 슈미트는 1974년부터 1982년까지 서독의 연방총리를 지낸 독일 정치인으로, 동서독 화해 정책을 계승하면서 서방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유럽 통합에 기여했으며, 경제 위기와 테러에 단호하게 대처하여 서독의 안정을 유지했으나 연정 파트너와의 갈등으로 총리직에서 물러난 후에도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독일 정치사에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함부르크 대학교 동문 - 하랄트 추어 하우젠
    하랄트 추어 하우젠은 인유두종바이러스가 자궁경부암의 주요 원인임을 밝혀내 2008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독일의 바이러스학자로서, HPV 16과 18이 전 세계 자궁경부암 환자의 약 70%를 유발한다는 사실을 규명하여 자궁경부암 예방 백신 개발에 기여했다.
  • 막스 플랑크 메달 수상자 - 난부 요이치로
    난부 요이치로는 일본 태생의 미국 물리학자이며, 양자색역학, 끈 이론, 자발 대칭 깨짐 등 입자물리학 분야에 기여하여 200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막스 플랑크 메달 수상자 - 피터 디바이
    피터 디바이는 분자 구조 및 물질의 물리적 성질 연구에 기여한 네덜란드 출신의 물리화학자로, 노벨 화학상 수상, 데바이 단위, 데바이 모델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나치 독일 시대 행적 논란 후 미국으로 이민하여 연구를 지속하며 현대 화학 및 물리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2008년 사망 - 찰스 틸리
    찰스 틸리는 미국의 사회학자, 정치학자, 역사학자로, 역사 사회학, 사회 운동, 국가 형성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며 관계적, 과정 중심적 접근 방식으로 사회과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2008년 사망 - 에드먼드 힐러리
    에드먼드 힐러리는 1953년 텐징 노르가이와 함께 인류 최초로 에베레스트 산 정상에 등정하고, 남극과 북극을 모두 정복했으며, 히말라야 지역 셰르파족을 위한 자선 활동에도 헌신한 뉴질랜드의 등반가, 탐험가, 자선가이다.
위르겐 엘러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07년 9월, 포츠담에서 있었던 카렐 대학교 메달 수여식에서
이름위르겐 엘러스
원어 이름Jürgen Ehlers
출생1929년 12월 29일
출생지함부르크, 독일
사망2008년 5월 20일 (향년 78세)
사망지포츠담, 브란덴부르크 주, 독일
국적독일
학력 및 경력
모교함부르크 대학교
직업물리학자
분야물리학
연구 분야일반 상대성 이론
수리 물리학
소속 기관함부르크 대학교
막스 플랑크 천체물리학 연구소
막스 플랑크 중력물리학 연구소
박사 지도 교수파스쿠알 요르단
수상
수상막스 플랑크 메달 (2002년)

2. 생애

위르겐 엘러스는 1929년 12월 29일 함부르크에서 태어났다.[45] 1955년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상대성 이론, 특히 중력 이론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블랙홀사건의 지평선 개념을 처음으로 제안했으며, 중력파 연구도 수행했다. 1967년부터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에서 교수로 재직하다 2008년 5월 20일 향년 78세로 사망했다.[45]

2. 1. 어린 시절 및 교육

위르겐 엘러스는 1929년 12월 29일 함부르크에서 태어났다.[46] 1936년부터 1949년까지 공립학교에 다녔고, 1949년부터 1955년까지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물리학, 수학, 철학을 공부했다. 1955~56년 겨울 학기에 고등학교 교사 시험인 슈타츠엑사멘에 합격했지만 교사가 되는 대신 논문 지도교수로 활동한 파스쿠알 요르단과 함께 대학원 연구를 시작했다. 그의 박사 과정은 아인슈타인 방정식에 대한 해의 구성화 및 특성화에 관한 것이었다. 그는 1958년에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47]

엘러스가 부임하기 전의 요르단 연구 그룹의 주요 연구는 일반 상대성 이론의 스칼라-텐서 수정에 전념했는데, 이는 나중에 요르단-브란스-디케 이론으로 알려지게 된다. 이 이론은 중력 상수가 가변 으로 대체된다는 점에서 일반 상대성 이론과 다르다. 엘러스는 그룹의 초점을 아인슈타인의 원래 이론의 구조와 해석으로 바꾸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8] 이 연구단의 다른 구성원에는 볼프강 쿤트, 라이너 K. 삭스, 만프레드 트륌퍼가 포함되어 있었다.[49]

이 그룹은 도시의 천문대인 함부르커 슈테른바르테에서 오토 헥만 및 그의 학생인 엥겔베르트 쉑킹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했다. 그룹의 콜로키움에는 볼프강 파울리, 조슈아 골드버그, 피터 베르그만 등이 참석했다.[50]

1961년 요르단의 조교로서 엘러스는 독일 교수 자격을 취득하여 하빌리타치온을 받았다. 그런 다음 그는 독일과 미국, 즉 킬 대학교, 시러큐스 대학교,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교수 및 연구 직책을 맡았다. 1964년부터 1965년까지 미국의 댈러스에 있는 남서부 대학원 연구 센터에서 근무했다. 1965년부터 1971년까지 그는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의 알프레드 쉴드 그룹에서 부교수로 시작하여 1967년 정교수가 되는 등 다양한 직책을 맡았다. 그 기간 동안 그는 뷔르츠부르크 대학교본 대학교에서 방문 교수직을 맡았다.[51]

2. 2. 초기 경력: 독일과 미국

위르겐 엘러스는 1929년 12월 29일 함부르크에서 태어났다.[1] 1936년부터 1949년까지 공립학교를 다녔으며, 1949년부터 1955년까지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물리학, 수학, 철학을 공부했다. 1955-56년 겨울 학기에 그는 고등학교 교사 자격 시험(''Staatsexamen'')에 합격했지만, 교사가 되는 대신 논문 지도 교수였던 파스쿠알 요르단과 함께 대학원 연구를 시작했다. 엘러스의 박사 논문은 아인슈타인 방정식의 해를 구성하고 특성화하는 것이었다. 그는 1958년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

엘러스가 오기 전, 요르단의 그룹은 주로 일반 상대성이론의 스칼라-텐서 변형(나중에 요르단-브란스-디케 이론으로 알려짐)을 연구했다. 이 이론은 중력 상수가 변수 으로 대체된다는 점에서 일반 상대성이론과 달랐다. 엘러스는 그룹의 초점을 아인슈타인의 원래 이론의 구조와 해석으로 바꾸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 그룹의 다른 구성원으로는 볼프강 쿤트, 라이너 K. 삭스, 만프레트 튐퍼가 있었다.[4]

이 그룹은 도시의 천문대인 함부르크 천문대에서 오토 헥만과 그의 제자 엥겔베르트 쉑킹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그룹 콜로키움에는 볼프강 파울리, 조슈아 골드버그, 피터 베르그만이 초대 손님으로 참석했다.[5]

1961년, 요르단의 조교로서 엘러스는 하빌리타치온을 획득하여 독일 교수 자격을 얻었다. 이후 그는 독일과 미국에서 교수 및 연구직을 역임했다.

대학교기간
킬 대학교
시라큐스 대학교
함부르크 대학교
사우스웨스트 대학원 연구 센터1964년 ~ 1965년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1965년 ~ 1971년
뷔르츠부르크 대학교방문 교수
본 대학교방문 교수



1965년부터 1971년까지 그는 앨프레드 쉴드의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그룹에서 부교수를 거쳐 1967년 정교수가 되었다.[6]

2. 3. 뮌헨 시절

1970년 엘러스는 뮌헨에 있는 막스 플랑크 물리학 및 천체물리학 연구소의 중력 이론 부서장 제의를 받고 합류했다.[52] 이 제안은 당시 연구소 소장이었던 루드비히 비어만이 했다. 1971년 연구소에 합류하면서 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의 겸임 교수가 되었다. 1991년 3월 연구소는 막스 플랑크 물리학 연구소와 막스 플랑크 천체물리학 연구소로 분리되었고, 엘러스의 부서는 막스 플랑크 천체물리학 연구소에 자리 잡았다.[53] 24년 동안 그의 연구 그룹에는 게리 기번스, 존 스튜어트, 번드 슈미트와 압하이 아쉬테카르, 드메트리오스 크리스토돌로우, 브랜던 카터를 비롯한 방문 과학자들이 있었다.[54]

엘러스의 뮌헨 시절 박사후 연구원 중 한 명은 나중에 대중 과학 저널 《사이언티픽 어메리컨》의 독일판인 《Spektrum der Wissenschaft》의 편집장이 된 라인하르트 브로이어였다.[55]

2. 4. 포츠담 시절과 말년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독일 과학 기관들이 재편되면서, 엘러스는 중력 이론 연구를 위한 막스 플랑크 협회 연구소 설립을 위해 로비를 벌였다. 1994년 6월 9일, 협회는 포츠담에 막스 플랑크 중력물리 연구소를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연구소는 1995년 4월 1일, 엘러스가 초대 소장이자 일반 상대성 이론의 기초 및 수학 부서의 책임자로 시작했다.[56] 엘러스는 이후 중력파 연구를 위한 두 번째 연구소 부서 설립을 감독했으며, 버나드 F. 슈츠가 부서장을 맡았다. 1998년 12월 31일, 엘러스는 퇴임하여 초대 명예 소장이 되었다.[57]

엘러스는 2008년 5월 20일 사망할 때까지 연구소에서 계속 근무했다.[58] 그는 아내 아니타 엘러스, 네 자녀 마틴, 카트린, 다비드, 막스, 그리고 다섯 명의 손주를 남겼다.[59]

3. 연구 업적

엘러스는 일반 상대성 이론 분야를 주로 연구했다. 특히 우주론, 중력 렌즈, 중력파 이론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60][15] 그는 일반 상대성 이론의 수학적 구조와 그 결과를 명확히 하고, 엄밀한 증명과 휴리스틱 추측을 분리하는 데 힘썼다.[60]

엘러스는 블랙홀사건의 지평선 개념을 처음으로 제안한 사람 중 한 명이다.[45]

3. 1. 엄밀 해 연구와 엘러스 군

엘러스는 박사 학위 논문을 위해 아인슈타인 방정식의 엄밀 해, 즉 기본 수학적 표현으로 명시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만큼 간단하면서 일반 상대성 이론과 일치하는 모델 우주를 찾는 연구를 진행했다. 이러한 엄밀 해는 물리적 상황에 대한 일반 상대론적 모델을 구축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일반 상대성 이론은 일반 공변성을 가지는 이론으로, 법칙이 주어진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선택된 좌표와 무관하게 동일하다. 따라서 서로 다른 두 개의 엄밀 해가 좌표만 다를 뿐, 동일한 모델 우주에 해당할 수 있다. 엘러스는 좌표 선택에 의존하지 않는, 불변적인 방법으로 엄밀 해를 특성화하는 방법을 찾고자 했다. 이를 위해 알려진 엄밀 해의 본질적인 기하학적 특성을 설명하는 방법을 연구했다.[61]

1960년대에 엘러스는 박사 학위 논문에 이어, 함부르크 그룹의 동료들과 협력하여 일련의 논문을 출판했다. 이 논문들은 나중에 "함부르크 바이블"로 알려지게 되었다.[62] 요르단 및 쿤트와 함께 작성한 첫 번째 논문은 아인슈타인의 장 방정식에 대한 엄밀 해를 체계적인 방식으로 특성화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바일 텐서(시공간곡률 중 아인슈타인의 방정식에 의해 제약되지 않는 부분), 아이소메트리 그룹, 등각 변환의 페트로프 분류와 같은 미분기하학 도구를 사용했다. 또한, 이 논문에는 단순 중력파의 한 종류인 pp-파의 첫 번째 정의 및 분류가 포함되었다.[63]

이 시리즈의 다음 논문들은 중력 복사에 관한 것으로, 하나는 작스와, 다른 하나는 트륌퍼와 공동으로 작성했다. 작스와의 공동 작업에서는 2성분 스피너 형식을 사용하여 특별한 대수적 특성을 가진 진공 해를 연구했다. 또한, 광선의 묶음(수학적 용어로는 합동(congruence))의 기하학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설명했다. 시공간 기하학은 빛의 전파에 영향을 미쳐 빛이 서로 수렴하거나 발산하게 하거나, 영역을 변경하지 않고 번들의 단면을 변형시킬 수 있다. 이 논문은 번들의 확장(수렴/발산), 비틀림 및 전단(단면적 보존 변형) 측면에서 이러한 가능한 변화를 공식화하여 이러한 속성을 시공간 기하학에 연결했다. 여기서 '''엘러스-작스 정리'''가 도출되었는데, 이는 불투명한 물체와 만나는 좁은 광선에 의해 생성되는 그림자의 속성을 설명한다. 이 작업에서 개발된 도구는 회전하는 블랙홀을 설명하는 로이 커커 솔루션 발견에 필수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64]

이 시리즈의 마지막 논문에서는 연속 매체의 역학에 대한 일반 상대론적 처리를 다루었다. 점 질량의 개념은 고전 물리학에서 유용하지만,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는 공간의 단일 지점으로의 이상화된 질량 집중은 잘 정의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대론적 유체역학, 즉 연속 매체에 대한 연구는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모델 구축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이 논문에서는 기본 개념과 모델을 체계적으로 설명했는데, 원래 출판된 지 32년 후 《General Relativity and Gravitation》 저널의 편집자는 이 논문을 "이 분야에서 최고의 리뷰 중 하나"라고 평가하며 영문 번역본을 출판했다.[65]

엘러스의 엄밀 해 탐구는 또 다른 중요한 결과로 이어졌다. 엘러스가 박사 학위 연구를 시작할 당시에는 일반 상대성 이론의 황금기가 아직 시작되지 않았고, 블랙홀의 기본 속성과 개념도 아직 이해되지 않았다. 엘러스는 나중에 블랙홀의 지평선으로 식별될 블랙홀 주변 표면의 중요한 특성을 증명했는데, 특히 내부의 중력장은 정적일 수 없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해야 한다는 것을 밝혔다. 가장 간단한 예는 이상화되고 구형 대칭인 블랙홀을 설명하는 슈바르츠실트 솔루션의 일부인 "아인슈타인-로젠 브리지" 또는 슈바르츠실트 웜홀이다. 지평선 내부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는 다리 모양의 연결 공간이 있으며, 웜홀을 통해 우주 여행자가 이동하기에는 너무 빠르게 붕괴된다.[66]

물리학에서 이중성은 서로 다른 물리적 개념을 사용하여 특정 물리적 상황에 대한 두 개의 동등한 설명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이는 물리적 대칭의 특수한 경우, 즉 물리적 시스템의 주요 기능을 보존하는 변경이다. 이중성에 대한 간단한 예는 전기장 '''E''' 와 자기장 '''B''' 사이의 전기 역학이다. 전하가 완전히 없는 경우, '''E''' \to – '''B''', '''B''' \to '''E''' 로 대체하더라도 맥스웰 방정식은 불변으로 된다. '''B''' 와 '''E''' 에 대한 특정한 식의 쌍이 전기역학 법칙을 준수할 때, 두 식을 전환하고 새로운 '''B''' 에 마이너스 기호를 추가하더라도 여전히 유효하다.[67]

엘러스는 박사 학위 논문에서 아인슈타인의 장 방정식의 해를 다른 해에 매핑하는 고정된 진공 시공간의 계량 텐서의 서로 다른 구성 요소 사이의 이중성 대칭을 지적했다. 공간 좌표가 변경되지 않는 시계로 측정된 시간을 설명하는 메트릭의 tt 구성 요소와 '''트위스트 전위'''로 알려진 용어 사이의 이러한 대칭은 앞서 언급한 '''E''' 와 '''B''' 사이의 이중성과 유사하다.[68]

엘러스가 발견한 이중성은 나중에 특수 선형 군 SL(2) 에 해당하는 더 큰 대칭으로 확장되었다. 이 더 큰 대칭 군은 이후 '''엘러스 군'''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 발견은 추가 일반화, 특히 무한 차원 게로크(Geroch) 군으로 이어졌다(게로크 군은 두 개의 비 교환적 하위 그룹에 의해 생성되며 그 중 하나는 엘러스 군이다). 이러한 소위 '''숨겨진 대칭'''은 일반 상대성 이론과 11차원 초중력과 같은 일반화의 칼루차-클라인 환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른 적용에서는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해를 발견하는 도구로서의 사용과 고정된 축 대칭 사례의 해가 적분 가능계를 형성한다는 증거에서의 역할이 포함된다.[69]

3. 2. 우주론: 엘러스-게런-삭스 정리

WMAP 위성 탐사선이 기록한 이 이미지에서 우주 배경 복사의 온도 불균일성은 10−4 켈빈을 넘지 않는다.


1968년에 발표된 엘러스-게런-삭스 정리는 주어진 우주에서 모든 자유 낙하 관측자가 우주 배경 복사가 모든 방향에서 정확히 동일한 특성을 갖는다고 측정하면(즉, 배경 복사가 등방성이라고 측정하면) 해당 우주는 등방적이고 균질한 프리드만-르메트르 시공간임을 보여준다.[25] 우주 등방성과 균질성은 현대 우주론의 표준 모형의 기반이 되기 때문에 중요하다.[26]

3. 3. 일반 상대성 이론의 기본 개념 연구

1960년대에 엘러스는 펠릭스 피라니 및 알프레드 쉴트와 함께 일반 상대성 이론에 대한 구성적-공리적 접근 방식을 연구했다. 이는 최소한의 기본 객체 집합과 이러한 객체의 속성을 지정하는 공리 집합에서 이론을 도출하는 방법이었다. 이들의 접근 방식의 기본 요소는 사건, , 입자 및 자유 낙하와 같은 원시 개념이었다. 처음에는 시공간은 추가 구조가 없는 단순한 사건의 집합이었다. 그들은 빛과 자유 낙하 입자의 기본 속성을 공리로 가정하고, 이를 통해 미분 위상, 등각 구조 및 최종적으로 시공간의 계량 구조, 즉 두 사건이 서로 가까이 있는지, 사건을 연결하는 데 있어 빛선의 역할, 그리고 사건 간의 거리 개념을 구축했다. 이 구성의 주요 단계는 레이더에서 사용되는 표준 거리 측정과 같은 이상적인 측정에 해당한다. 최종 단계에서는 가능한 가장 약한 추가 공리 집합으로부터 아인슈타인 방정식을 도출했다. 그 결과는 일반 상대성 이론의 근간을 이루는 가정을 명확하게 식별하는 공식이다.[27]

1970년대에 엘러스는 에카르트 루돌프와 협력하여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강체의 문제를 다루었다. 강체는 고전 물리학의 기본 개념이다. 그러나 정의상, 강체의 서로 다른 부분이 동시에 움직인다는 사실은 신호 및 기타 영향의 전파에 대한 제한 속도로서의 빛의 속도에 대한 상대론적 개념과 양립할 수 없다. 막스 보른은 1909년에 이미 상대론적 물리학과 호환되는 강성의 정의를 제시했지만, 그의 정의는 일반적인 시공간에서 충족되지 않는 가정에 의존하므로 지나치게 제한적이다. 엘러스와 루돌프는 보른의 정의를 "의사 강성"이라고 부르는 더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정의로 일반화하여 고전 물리학의 강성에 대한 더 만족스러운 근사치를 제시했다.[28]

3. 4. 중력 렌즈 연구

엘러스는 페터 슈나이더와 함께 중력 렌즈의 기초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시작했다. 이 연구의 결과 중 하나는 1992년에 슈나이더, 에밀리오 팔코와 공동으로 저술한 모노그래프였다. 이 책은 이론적 기초와 관측 결과를 모두 포함한 이 주제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인 해설서였다. 천문학적 관점에서 중력 렌즈는 종종 중력장이 작고 굴절 각도가 미미하다고 가정하는 준 뉴턴 근사를 사용하여 설명되는데, 이는 대부분의 천체물리학적 관련 상황에 완벽하게 충분하다. 반면에, 이 모노그래프는 완전히 상대론적인 시공간 관점에서 중력 렌즈에 대한 철저하고 완전한 설명을 제시했다. 이 책의 이러한 특징은 장기적인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74] 그 후 몇 년 동안 엘러스는 임의의 시공간에서 빛의 묶음 전파에 대한 연구를 계속했다.[75]

중력 렌즈 시스템에 대한 대부분의 천체물리학적 모델링에서는 준뉴턴 근사법을 사용한다.

3. 5. 프레임 이론과 뉴턴 중력

아인슈타인은 수성의 수성 근일점 세차 운동과 같은 예측을 이끌어내기 위해 일반 상대성 이론의 뉴턴 한계를 사용했다. 이후 엘리 카르탕, 쿠르트 프리드리히스 등의 연구는 뉴턴-카르탕 이론으로 알려진 뉴턴 중력의 기하학적 일반화가 어떻게 일반 상대성 이론의 (퇴화된) 한계로 이해될 수 있는지를 더 구체적으로 보여주었다. 이를 위해서는 특정 매개변수 \lambda를 0으로 할 필요가 있었다. 엘러스는 뉴턴-카르탕 극한을 수학적으로 정확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는 '''프레임 이론'''을 개발하여 이 작업을 확장했다. 이는 물리 법칙뿐만 아니라 이러한 법칙을 준수하는 모든 시공간(즉, 아인슈타인 방정식의 해)에 대해서도 가능하다.

프레임 이론을 통해 물리학자들은 특정 물리적 상황에서 뉴턴의 한계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탐구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프레임 이론은 슈바르츠실트 블랙홀의 뉴턴 한계가 단순한 점 입자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프리드만-르메트르 모델 또는 괴델 우주와 같은 정확한 솔루션의 뉴턴 버전을 구성할 수 있다.[76] 엘러스가 그의 틀 이론의 맥락에서 소개한 아이디어는 뉴턴의 일반 상대성 이론의 한계와 뉴턴의 중력이 더 높은 차원의 용어로 보완되는 포스트 뉴턴 전개 즉, 뉴턴 중력이 상대론적인 효과를 수용하기 위하여 1/c^2의 더욱 높은 차수의 항에 의한 보완 연구에서 중요한 응용을 발견했다.[77]

일반 상대성 이론은 비선형적이어서, 두 질량의 중력 영향은 뉴턴 중력의 경우처럼 단순히 두 질량의 개별 중력 영향의 합이 아니다. 엘러스는 복사 시스템에 대한 중력 복사의 반작용이 일반 상대성 이론과 같은 비선형 이론에서 어떻게 체계적으로 설명될 수 있는지에 대한 토론에 참여했으며, 쌍성 펄서와 같은 시스템의 에너지 플럭스에 대한 표준 사중극자 공식이 (아직) 엄밀하게 유도되지 않았다고 지적하였는데, 선험적으로 어떤 유도에서는 일반적으로 가정된 것보다, 그때까지 계산된 것보다 높은 상위 항의 포함이 요구되었다.[78]

특히 우주론의 해와 관련하여 뉴턴 극한에 대한 그의 연구는 엘러스를 이전의 박사 과정 학생인 토마스 부헤르트와 함께 뉴턴 우주에서 섭동과 비균질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로 이끌었다. 이것은 불균일성에 대한 이러한 취급에 대한 부헤르트의 후기 일반화를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 이 일반화는 현재 우주 상수 또는 현대 용어로 암흑 에너지의 우주 효과로 간주되는 것을 일반 상대론적 우주론에서 비균질성의 비선형 결과로 설명하려는 그의 시도의 기초였다.[79]

3. 6. 물리학의 역사와 철학 연구

엘러스는 일반 상대성 이론뿐만 아니라 더 넓은 범위의 물리학 기초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물리학의 역사를 연구했다. 그는 사망할 때까지 베를린 막스 플랑크 과학사 연구소에서 양자 이론의 역사에 관한 프로젝트에 참여했다.[80] 특히 1925년과 1928년 사이에 양자장 이론 발전에 대한 파스쿠알 요르단의 중요한 공헌을 탐구했다.[81] 엘러스는 생애 동안 물리학의 철학적 기초와 함의에 관심을 가졌으며, 물리학에서 과학적 지식의 기본 지위와 같은 질문을 다루어 이 주제에 대한 연구에 기여했다.[82]

3. 7. 과학 대중화 활동

엘러스는 일반 대중에게 과학을 알리는 데 큰 관심을 보였다. 그는 대학교와 베를린의 우라니아 같은 곳에서 자주 공개 강연을 했다.[83] 그는 'Bild der Wissenschaft'와 같은 일반 독자 대상 저널에 기고하는 등 대중 과학 기사를 저술했다.[83][38] 그는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의 독일판을 위해 중력에 관한 기사 모음집을 편집했다.[83]

엘러스는 물리학의 언어로서의 수학과 같은 상대성 이론 및 관련 기본 개념의 교육에 관한 강연과 저널 기사를 통해 물리학 교사에게 직접 연설했다.[83][39]

4. 수상 및 영예

엘러스는 베를린-브란덴부르크 과학 인문학 아카데미(1993), 마인츠의 과학 문학 아카데미(1972), 할레의 레오폴디나(1975), 뮌헨의 바이에른 과학 인문학 아카데미(1979) 회원이다.[84] 1995년부터 1998년까지 일반 상대성 이론 및 중력에 관한 국제 학회 회장을 역임했다.[85] 2002년 독일 물리학회 막스 플랑크 메달, 2005년 파비아 대학교 알레산드로 볼타 금메달, 2007년 프라하 카렐 대학교 자연과학부 메달을 받았다.[42]

2008년 일반 상대성 이론 및 중력에 관한 국제 학회는 엘러스를 기념하여 "위르겐 엘러스 논문상"을 제정했다. 이 상은 과학 출판사 스프링거가 후원하며, 학회 국제 학술대회에서 3년마다 수학적 및 수치적 일반 상대성 이론 분야 최우수 박사 학위 논문에 수여된다.[86] 저널 ''일반 상대성 이론 및 중력'' 41권 9호는 엘러스를 기리기 위해 헌정되었다.[87]

5. 주요 저서

제목출판사연도ISBN
일반 상대성 이론 개요 (Survey of general relativity theory)D. 레이델197390-277-0369-8
중력 렌즈 (Gravitational lenses)스프링거19923-540-66506-4
중력 (Gravitation)슈펙트럼 아카데미셔 페어라크19963-86025-362-X


참조

[1] 서적 Atom Optics and Space Physic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chool of Physics "Enrico Fermi", Course CLXVIII, Varenna on Lake Como, Villa Monastero, 3-13 July 2007 https://books.google[...] IOS Press 2022-12-28
[2] 문서
[3] 간행물 Einstein's Field Equations and Their Physical Implications Springer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Jahrbuch 2000 http://www.mpg.de/en[...] Max-Planck-Gesellschaft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논문
[37] 논문
[38] 간행물 Biennial Report 2004/2005 http://www.aei.mpg.d[...] Max Planck Institute for Gravitational Physics
[39] 간행물 Biennial Report 2004/2005 http://www.aei.mpg.d[...] Max Planck Institute for Gravitational Physics
[40] 문서
[41] 웹사이트 GRG Society History http://www.isgrg.org[...] International Society on General Relativity and Gravitation 2013-05-28
[42] 뉴스 Physikalische Spitzenleistung http://www.dpg-physi[...] Deutsche Physikalische Gesellschaft 2001-12-17
[43] 웹사이트 The Jürgen Ehlers Thesis Prize http://www.isgrg.org[...] Website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on General Relativity and Gravitation 2013-05-28
[44] 논문
[45] 웹사이트 Prof. Dr. Jürgen Ehlers has died https://www.aei.mpg.[...] 2008-05-27
[46] 서적 Atom Optics and Space Physic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chool of Physics "Enrico Fermi", Course CLXVIII, Varenna on Lake Como, Villa Monastero, 3-13 July 2007 https://books.google[...] IOS Press 2022-12-28
[47] 논문
[48] 서적 Einstein's Field Equations and Their Physical Implications Springer
[49] 논문
[50] 논문
[51] 논문
[52] 논문
[53] 논문
[54] 논문
[55] 논문
[56] 논문
[57] 논문
[58] 간행물 Lebenslauf von Prof. Dr. Jürgen Ehlers http://www.aei.mpg.d[...] Max Planck Institute for Gravitational Physics 2008-05-27
[59] 논문
[60] 논문
[61] 논문
[62] 논문
[63] 논문
[64] 논문
[65] 논문
[66] 논문
[67] 논문
[68] 논문
[69] 논문
[70] 논문
[71] 기타
[72] 기타
[73] 기타
[74] 기타
[75] 간행물 Annual Report 1994 http://www.mpa-garch[...] Max Planck Institute for Astrophysics
[76] 기타
[77] 기타
[78] 기타
[79] 기타
[80] 기타
[81] 기타
[82] 기타
[83] 간행물 Biennial Report 2004/2005 http://www.aei.mpg.d[...] Max Planck Institute for Gravitational Physics
[84] 기타
[85] 웹사이트 GRG Society History http://www.isgrg.org[...] International Society on General Relativity and Gravitation 2013-05-28
[86] 뉴스 Physikalische Spitzenleistung http://www.dpg-physi[...] Deutsche Physikalische Gesellschaft 2001-12-17
[87]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